전체 글187 [교육학] 교과외 활동 교육과정 1. 우리나라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우리나라의 초·중등학교 교과 외 교육과정은 '교수요목'의 시기 이후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5차 교육과정까지는 '특별활동'이라는 영역을 통해서 교과 외 활동을 편성하고 운영하였으며, 제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는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이라는 2대 영역에서 교과 외 활동을 편성하여 운영하도록 하였다. 초·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영역별·시대별 교과 외 교육과정 변천 과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특별활동 시기 (1) 교수요목 시기의 특별활동(1946~1954) 교수요목 시기에는 특별활동과 관련한 문서화된 내용이나 '특별활동'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았다. 다만 학교 교육에서 특별활동과 관련된 활동을 '교과 외 활동'으로 규정하여 학교 교육에서 정규 교육과정으로 도.. 2022. 12. 15. [교육학] 교육과정의 총론(4) 2. 국가교육과정기 중 개정의 개선 1) 국가교육과정기 준 개정 관행의 평가 여기서부터는 국가교육 과정 기준의 질적 변화와 더 낮은 질 관리를 위해서 먼저 국가교육 과정 기준이 연구 개발 고시되는 측면의 문제점을 지적해 보고자 한다. (1) 전면 개정 국가교육 과정 기준을 개정하게 되면 학교나 교과의 형편과는 관계없이 무조건 고등학교 이하 모든 학교, 모든 학년, 모든 교과의 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개정하게 된다. 일반 보통교육을 위한 보통 교과로 실업 및 특수목적교육을 위한 전문 교과,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의 성격과 지위가 다르므로 개정할 필요성이 달라야 함에도 거의 비슷한 예산으로, 비슷한 규모로 전면 개정을 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도 예외가 아니어서 초등학교의 우리들은 1학년을 비롯하여 전 교과.. 2022. 12. 14. [교육학] 교육과정의 총론(3) ④ 교육 관료 교육은 공공의 중요한 사업이므로 어느 나라나 교육 관료들은 장학, 교과서에도 등을 통해 교육과정 업무를 담당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과정기획과에서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기획을 하고 추진하는 주체가 되고 있다. 결국 소수의 교육 관료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수준이 교육과정의 수준을 결정하게 된다. 왜냐하면 교육 관료들이 국리민복에 대한 혜안과 비전을 가지고 있다면 교육과정 기준의 질은 점점 높아질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오히려 교육 발전에 걸림이 된다. 국가교육 과정 기준은 학교의 현실에만 맞추면 늘 제자리걸음을 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고 학교의 현실을 넘어 많은 학교에서 모든 학교 구성원들이 합심하여 노력하면 달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높여 두면 교육 현실을 개선.. 2022. 12. 14. [교육학] 교육과정의 총론(2) 2) 국가교육 과정 기준의 연구 개발 우리나라의 국가교육 과정 기준은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교과 교육과정 기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기준)으로 나누어 연구 개발된다. 현재 쓰이고 있는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으로서 교육과정 변화는 그 대상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이며, 그 변화의 정도는 전면 개정과 부분 개선으로 나눌 수 있다. 아래 표는 국가교육 과정의 변화 대상과 변화 정도를 표현한 것이다. (1) 교육과정 총론의 연구 개발 국가교육 과정 기준의 개발 절차는 크게 "계획수립->기초연구->교육과정 연구/개발->심의->최종안 선정->확정 고시"의 절차를 거친다. 다음 표는 제7차 교육과정을 비롯하여 교육부의 국가교육과정기 준 개발 일정을 나타낸 것이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교육과정.. 2022. 12. 14.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