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1. 교육내용의 선정 1) 교육내용 선정의 기준 교육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과 활동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하는데, 이때 교육목표는 단원 목표 이상을 말한다. 수업 계획과 직접 연결되는 수업 목표의 진술에는 내용이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내용 선정이 목표를 달성하고 위한 것이기 떄문에 목표에 따라 내용을 선정하면 되지만, 내용 선정에서는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어떤 내용을 선정할 것인가의 기준이 중요하다. 이경섭은 교육과정 선정의 준거로서 중요성 적절성, 유용성, 학습 가능성, 흥미 등을 들고 있다. 김인식과 최호성은 교육목표 관련성, 학습 내용의 타당성, 학습 내용의 넓이와 폭의 균형성, 학습자의 적절성, 사회적 유용성을 들고 있다. 김대현은 타당성의 원리, 확실성의 원리, 중요성의..
2022. 12. 13.
[교육학] 교육과정 개발 모형
1.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참여 과정을 통해 스스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되고, 나아가 그 결과물을 실행하는 입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현재보다 나은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성장 발전하는 학생들에게 현재보다 나은 교육적 경험을 가져다주게 된다. 좋은 교육과정 개발 체제는 자체의 자 기교 정력을 갖고 있어서 점차 변화, 발전하는 교육과정을 낳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Diamond(1977: 15)에 의하면, 교육과정 설계의 효과적인 모형은 첫째, 일련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핵심 요소를 제시하고, 둘째, 지속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셋째, 우리가 모형이 진행되는 과정의 어디쯤 있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 중요한 의문 사항이나 대안적인 해결방안을 탐구하고자 할 때 불필..
2022.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