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교육과정 총론(1)
(5)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정치적으로 1980년 봄, 민주화 운동이 군사 쿠데타에 의해 좌절되었고, 유아교육과 대학 교육 기회 확대, 중학교 의무교육의 단계적 추진, 과열 과외 잠재 요인 제거, 일반고의 학대, 과학/외국어/예체능 분야의 조기 영재교육을 위한 특수목적고가 신설되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연구 개발한 제4차 교육과정은 종래의 교과, 경험, 학문으로 이어지던 교육과정에 보다 미래 지향적인 과학교육과 인간 중심 교육을 강조한 것이었다. 미래 지향적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인간상으로 건강한 사람, 심미적인 사람, 능력 있는 사람, 도덕적인 사람, 주체적인 사람을 제시하였다.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잘못된 적용으로 늘어난 학습 내용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학과목을 축소하고, 주당 수업 ..
2022. 12. 14.
[교육학]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1. 교육내용의 선정 1) 교육내용 선정의 기준 교육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과 활동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하는데, 이때 교육목표는 단원 목표 이상을 말한다. 수업 계획과 직접 연결되는 수업 목표의 진술에는 내용이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내용 선정이 목표를 달성하고 위한 것이기 떄문에 목표에 따라 내용을 선정하면 되지만, 내용 선정에서는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어떤 내용을 선정할 것인가의 기준이 중요하다. 이경섭은 교육과정 선정의 준거로서 중요성 적절성, 유용성, 학습 가능성, 흥미 등을 들고 있다. 김인식과 최호성은 교육목표 관련성, 학습 내용의 타당성, 학습 내용의 넓이와 폭의 균형성, 학습자의 적절성, 사회적 유용성을 들고 있다. 김대현은 타당성의 원리, 확실성의 원리, 중요성의..
2022.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