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교육학16

[교육학] 교과외 활동 교육과정(4) 3. 외국에서 교과 외 활동 (4) 싱가포르 싱가포르에서 정규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외 활동(Co-Curriculum Activities: CCA)은 국가 수준에서 제공하는 공식적인 문서에 의한 교육은 아니다. 그러나 학교 수준에서 학교 나름대로 단위 학교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활동을 실시함과 동시에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싱가포르는 국가 수준에서 제공하는 교과 외 활동의 공식적인 문서는 없다. 다만 단위 학교 수준에서는 초·중·고 학교급에 따라 학교 나름의 목표를 설정하여 제시하고 있다. 학생들에게 종합교육을 제공하고, 그들의 흥미와 재능을 발견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과 외 활동을 실시한다. 싱가포르에서 방과 후 교육활동으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교과 외 활동 영역은 .. 2022. 12. 15.
[교육학] 교과외 활동 교육과정(3) 3. 외국에서 교과 외 활동 (1) 영국 교과 외 활동이란 대표적으로 '특별활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교육과정 영역이다. 영국에서의 교과 외 활동은 Extra Curricular, After school club, After school activities, Out of school activities, Extended school activities 등으로 불리며, 방과 후 학교에서 하는 클럽활동을 일반적으로 'Extra curricular'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교과 외 활동 중 '특별활동'이라고 불리는 것은 학교나 교사, 학생 모두에게 의무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해 시행하고 있는 것에 비해 영국은 누구에게도 강제로 학교 교육을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한국의 경우, '방과 후 자율학습'의 경우에 .. 2022. 12. 15.
[교육학] 교과외 활동 교육과정(2) 2.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목표와 내용 체계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의의와 중요성이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반영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목표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 활동이 학생들의 인지적 발달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창의적 체험활동은 인지적 발달과 함께 정의적 발달에 강조를 두어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교급별 구분 없이 총괄 목표를 제시하고 4개 영역별로 하위목표를 학습자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총괄 목표는 초·중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이수를 통해 달성하여야 할 전체적인 교육목표이고, 하위목표는 창의적 체험활동 4개 영역의 실천을 통해서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목표이다. 1) 교육 목표 학생들은 창의적 체험활동에 .. 2022. 12. 15.
[교육학] 교과외 활동 교육과정(1) 2)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의 시기 (1) 제6차 교육과정의 시기(1992~1997) 제6차 교육과정 시기의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특별활동, 학교 재량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이 시기의 특별활동 영역은 운영 집단을 중심으로 학급 활동, 학교 활동, 클럽활동의 3영역으로 구성하고,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구성에서도 특별활동의 성격을 분명하게 하고, 목표, 내용(내용 체계, 영역별 내용), 방법, 평가를 제시하여 특별활동의 체제와 구조를 전면적으로 개선한 것이 특색이다. 특별활동의 본질적인 특성을 강조하여 집단생활에의 적용, 공동체 의식 함양, 창의성과 사회성 신장 등을 강조하였으며, 특별활동의 활동 영역에 따라 내용적인 목표가 제시되었다. 학급 활동 영역에서는 역할 분담, 학교생활에서의 적응을 강조하였고, 학교 활.. 2022.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