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팁102 [교육학] 교육학의 유형 교육과정을 결정하는 교과, 학습자, 사회는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 정의 기원과 특색 등의 근원이 된다. 이들은 각각 고유한 역사적 기원, 인간관, 사회관, 학교관, 수업관, 평가관을 아우르는 교육과정 관점을 낳았다. 이들 세 요인이 단독 혹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결과가 어떻게 현실의 교육 과정을 낳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1) 교과 중심 교육과정 교과 중심 교육과정은 학교의 실제 교육과정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지속해서 영향을 주어 왔다. 이는 그 후예라고 할 수 있는 학문 중심이나 행동주의(성취기준 중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고전적인 형태를 지칭한다. William Torrey Harris에 따르면 도시화/산업화하는 사회에서 보편교육은 서구 문명의 주요한 문화유.. 2022. 12. 8. [교육학] 교육과정의 역사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길은 여럿이다. 여기서는 교육과정 사적으로 중요한 몇몇 인물과 그들이 이룬 주요한 성과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19세기 중반 Spencer에서 시작하여 20세기 중반 Tyler를 분수령으로, 20세기 후반 교육과정 논의의 이론적, 실제적 발달과정을 교육과정 '개발'과 '이해'로 나누어 살펴본다. 1. 교육과정의 정초기 1) 실제적 삶을 위한 교육 현대적 의미의 교육과정 논의를 본격적으로 벌인 이는 Herbert Spencer(1820~1903)이다. Spencer는 1860년에 교육론:지 저서를 통해 상류 귀족층의 지적 허영심을 만족시키는 형식적 교육 하기 싫어했던 암기식 대학준비 교육을 시키던 고전적 교육을 통박하였다. 2) 어떤 지식이 가장 가치 있는 것인가 Spencer는 인.. 2022. 12. 2. [교육학] 공식적 교육과정의 전모 [교육학] 공식적 교육과정의 전모 1. 국가 수준 교육과정 국가는 국가교육의 보편성과 통일성, 기회균등, 일정 수준의 교육의 질 유지, 국가 간 경쟁 우위의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을 강조한다. 우리의 경우 세계 수준의, 인류 공영의 과제도 있지만, 자유민주 국가의 건국, 산업화, 민주화에 이어 세계화 정보화 사회에서 선진화, 통일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세계 일류 문화국가를 만들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국민국가의 국가 교육과정은 서구에서는 16세기 말부터, 우리나라의 경우 19세기 말부터 도입되어, 자국의 언어로 자국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강조하여 국민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는 국민국가의 부국강병을 위한 정신적 기반으로 인식되어 왔다. 2. 지역 수준 교육과정 우리나.. 2022. 11. 29. [교육학] 교육과정의 종류 1, 공식화에 따른 교육과정 구분 언뜻언뜻 보이는 부분과 쉽게 드러나지 않아 평생 잊힐 것 같은 부분이 있다. 공식 교육과정은 의도되고 계획된 실천으로 학습자들이 뚜렷이 경험하는 교육과정이다. 국가교육 과정 기준을 담은 문서, 시 교육청의 교육과정 지침, 지역 교육청의 장학 자료, 교과서를 비롯한 수업용 교재,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 교사의 수업 계획, 실시된 수업, 특별활동, 조회 등은 교육적 목적과 목표에 따라 분명하게 의도되고 계획된 공식적 교육과정이다. 공식적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경험이 됨으로써 그것의 소임을 다하나 필연적으로 부산물을 낳는다. 공식적 교육과정의 그림자라고 할 수 있는 잠재적 교육과정과 가르쳐지지 않고 소홀히 취급되고 금기시되는 영 교육과정이 그것이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공식.. 2022. 11. 28. 이전 1 ··· 22 23 24 25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