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팁/교육학16 [교육학] 공식적 교육과정의 전모 [교육학] 공식적 교육과정의 전모 1. 국가 수준 교육과정 국가는 국가교육의 보편성과 통일성, 기회균등, 일정 수준의 교육의 질 유지, 국가 간 경쟁 우위의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을 강조한다. 우리의 경우 세계 수준의, 인류 공영의 과제도 있지만, 자유민주 국가의 건국, 산업화, 민주화에 이어 세계화 정보화 사회에서 선진화, 통일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세계 일류 문화국가를 만들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국민국가의 국가 교육과정은 서구에서는 16세기 말부터, 우리나라의 경우 19세기 말부터 도입되어, 자국의 언어로 자국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강조하여 국민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는 국민국가의 부국강병을 위한 정신적 기반으로 인식되어 왔다. 2. 지역 수준 교육과정 우리나.. 2022. 11. 29. [교육학] 교육과정의 종류 1, 공식화에 따른 교육과정 구분 언뜻언뜻 보이는 부분과 쉽게 드러나지 않아 평생 잊힐 것 같은 부분이 있다. 공식 교육과정은 의도되고 계획된 실천으로 학습자들이 뚜렷이 경험하는 교육과정이다. 국가교육 과정 기준을 담은 문서, 시 교육청의 교육과정 지침, 지역 교육청의 장학 자료, 교과서를 비롯한 수업용 교재,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 교사의 수업 계획, 실시된 수업, 특별활동, 조회 등은 교육적 목적과 목표에 따라 분명하게 의도되고 계획된 공식적 교육과정이다. 공식적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경험이 됨으로써 그것의 소임을 다하나 필연적으로 부산물을 낳는다. 공식적 교육과정의 그림자라고 할 수 있는 잠재적 교육과정과 가르쳐지지 않고 소홀히 취급되고 금기시되는 영 교육과정이 그것이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공식.. 2022. 11. 28. [교육학] 교육과정의 개념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은 학습자의 요구를 존중하면서 교수가 주도하는 학습의 독특한 일부다. 학교 교육에서 위치와 기능을 확인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면서 기본 질문이 시사하는 바를 탐구하고자 한다. 1. 교육과 교육과정 학습은 명상 등 온갖 자극을 통해 일어나는 일간의 변화다. 학습은 다양한 시공간에서 우연히 무형 식은 적 일어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체계적 형식적인 지식, 기능, 태도도 있지만, 형식 없이 암묵적 체화되는 것도 있다. 사람들은 학습을 통해서 앎도 얻고, 할 줄 아는 능력도 체득한다. 성장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어린 시절에는 교수에 의한 가르침의 '교육'이 많지만 자립하게 되면 학습자에 의한 자기 주도적이거나 집단 속의 협력에 의한 '학습'이 지배적으로 되며.. 2022. 11. 24. [교육학] 교육과정의 의미와 개발원인 1. 어원적 의미와 의미분석의 틀 교육 과정이란 어떤 의미를 외연하고 내포하고 있는가? 내용을 기준으로 할 때, 교수의 입장과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교육과정의 의미를 어떻게 서로 달리 규정하는가 운용의 측면에서 생각할 때, 우리는 교육과정의 의미를 어떻게 규정할 수 있고 개발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개발하는 데 있어서 적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기본 원리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겠는가 사람들이 쉽게 사용하는 교육 과정이라는 용어는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할 때, 무엇을 가리켜 교육과정이라는 의미를 사용하는 것인가? 우선 우리가 사용하는 실재적 현상으로서의 교육과정의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실제 어원적으로 나타나는 의미를 면밀히 살펴본다. 다음 순서로.. 2022. 11. 22.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