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교육학16

[교육학] 교육목적의 설정 1. 교육의 일반 목표 모든 교육활동은 설정된 교육목적과 교유 목표로부터 출발한다. 교육목적은 교육이 지향하는 기본적인 방향 제시의 표현으로서, 비교적 포괄적이고 궁극적이며 일반적이고 대체적인 동시에 이상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비교적 포괄적이고 궁극적이며 일반적이고 대체적인 동시에 이상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흔히 교육이념이 가장 높은 수준을 드러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기본법에 교육이념을 명시하고 있다. 교육이념, 교육받은(추구하는) 인간상, 교육목적 등은 주로 이상적인 사회상과 여기에 상응하는 교육받은 사람들의 성품과 능력을 어느 정도 규범적으로 규정하게 된다. 이것은 학교에 개설되는 교과나 교과 외 활동을 통해서 대부분 달성되지만 전부 달성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것들은 논리적으로는 학교.. 2022. 12. 12.
[교육학] 교육과정 개발 모형 1.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참여 과정을 통해 스스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되고, 나아가 그 결과물을 실행하는 입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현재보다 나은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성장 발전하는 학생들에게 현재보다 나은 교육적 경험을 가져다주게 된다. 좋은 교육과정 개발 체제는 자체의 자 기교 정력을 갖고 있어서 점차 변화, 발전하는 교육과정을 낳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Diamond(1977: 15)에 의하면, 교육과정 설계의 효과적인 모형은 첫째, 일련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핵심 요소를 제시하고, 둘째, 지속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셋째, 우리가 모형이 진행되는 과정의 어디쯤 있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 중요한 의문 사항이나 대안적인 해결방안을 탐구하고자 할 때 불필.. 2022. 12. 9.
[교육학] 교육학의 유형 교육과정을 결정하는 교과, 학습자, 사회는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 정의 기원과 특색 등의 근원이 된다. 이들은 각각 고유한 역사적 기원, 인간관, 사회관, 학교관, 수업관, 평가관을 아우르는 교육과정 관점을 낳았다. 이들 세 요인이 단독 혹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결과가 어떻게 현실의 교육 과정을 낳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1) 교과 중심 교육과정 교과 중심 교육과정은 학교의 실제 교육과정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지속해서 영향을 주어 왔다. 이는 그 후예라고 할 수 있는 학문 중심이나 행동주의(성취기준 중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고전적인 형태를 지칭한다. William Torrey Harris에 따르면 도시화/산업화하는 사회에서 보편교육은 서구 문명의 주요한 문화유.. 2022. 12. 8.
[교육학] 교육과정의 역사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길은 여럿이다. 여기서는 교육과정 사적으로 중요한 몇몇 인물과 그들이 이룬 주요한 성과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19세기 중반 Spencer에서 시작하여 20세기 중반 Tyler를 분수령으로, 20세기 후반 교육과정 논의의 이론적, 실제적 발달과정을 교육과정 '개발'과 '이해'로 나누어 살펴본다. 1. 교육과정의 정초기 1) 실제적 삶을 위한 교육 현대적 의미의 교육과정 논의를 본격적으로 벌인 이는 Herbert Spencer(1820~1903)이다. Spencer는 1860년에 교육론:지 저서를 통해 상류 귀족층의 지적 허영심을 만족시키는 형식적 교육 하기 싫어했던 암기식 대학준비 교육을 시키던 고전적 교육을 통박하였다. 2) 어떤 지식이 가장 가치 있는 것인가 Spencer는 인.. 2022.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