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

실내마스크 해제 헬스장, 교회, 학교 ? 명확히 알려드릴게요.

by 뻔니 2023. 2. 1.
반응형

 

코로나 실내 마스크 해제 권고 헬스정, 교회, 학교는?

 

노마스크 해지 제외 예외장소는 어디일지 많이들 궁금해하시는데요.

코로나 실내 마스크 해제로 인해 이제는 드디어 마스크 없이 생활이 가능해지게 됩니다.

27일날 정부에서는 오는 1월 30일 (어제) 0시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정책이 의무에서 권고로 전환이 되었습니다.

의무가 아니지만 아마~ 오랜 기간은 모두 마스크를 계속해서 습관적으로 착용할거라고 생각되요.

 

실내 마스크 해제

 

1월 30일 실내마스크 의무 조정 1단계 시행

환자발생 안정화, 위중증 사망자 발생 감소, 안정적 의료대응 역량 3가지 지표 참고치 달성에 따라, 어제(1월 30일)부터 실외에 이어 실내에서도 마스크 자율 착용 권고로 환되었습니다.

(실외마스크 착용 권고 전환은 2022년 9월부터 시행 되왔죠)

 

실내 마스크 해제

마스크 착용 권고 상황

1. 코로나 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코로나 19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 코로나 19 의심 증상) 인후퉁, 기침, 코막힘 또는 콧물, 발열 등

2. 코로나 19 고위험군이거나, 코로나 19 고위험군과 접촉하는 경우

(* 코로나 19 고위험군) 60세 이상 연령층,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등

3. 최근 코로나 19 확진자와 접촉했던 경우 (접촉일로부터 2주간 착용 권고)

4.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밀집/밀접) 실내 환경에 있는 경우

5.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합창/대화 등 비말 생성행이가 많은 경우

 

 

👉감염취약 시설로는

의료기관과 약국 및 대중교통수단 내이며,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되어야 합니다.

실내마스크해제

30일부터 적용되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인 장소

학교 / 학원 통학차량 탑승내에서

철도, 기차, 버스, 항공기 등 운송수단 탑승 내에서

병원 등 의료시설 내 다인 병실 내부에서는 의무입니다.

 

※ 많이들 헤깔려하시는 곳중

직장, 식당과 카페 내부와

지하철역, 기차역, 버스터미널에서 탑승 전 대기와

병원 등 의료시설 내 1인 병실 내부와

요양원, 장애인 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의 다인실 내부에서는 의무가 아닙니다.

 

실내 마스크 의무화

마스크 착용 케이스Q/A 모아봤습니다.

Q. 헬스장, 사우나, 목욕탕, 수영장 ?

→ 마스크 착용 의무 아닙니다. 단 마스크 착용 의무 시설 내에 수영장, 목욕탕 등이 있을때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Q. 대형마트 안에 있는 약국에서도 마스크를?

→ 해당 약국으로 신고된 면적 내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입니다. 마트 내 이동통로 및 공용공간은 미적용입니다.

 

Q. 아파트 엘리베이터 안?

→ 착용 의무 시설 아닙니다. 단, 환기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마스크 착용을 권고합니다.

 

Q. 실내 마스크 교회?

의무 아닙니다. 단, 아무래도 교회는 밀집하는 장소이기에 조심하겠다는 신도들이 다수입니다.

 

Q. 실내 마스크 해제 학교 ?

→ 학생들과 학부모 교직원들이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없습니다.  하지만 일상적으로 마스크를 쓰겠다는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여론조사 결과 학생 55.3% 교직원 48.1% 학부모 65.4%가 가급적 일상적으로 착용하겠다고 답변했다고 합니다.

 

 

매일 새벽 기도를 드리기 위해 교회 방문을 했따는 개신교 최명화(52,여) 씨는 "아무래도 교회는 다수가 밀집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아직은 마음이 놓이지 않습니다" 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30일 (어제) 부터 병원, 대중교통을 제외하고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시기 예배를 강행하다 수많은 집단감염이 발생한 사례가 있는 

종교계에서는 조심스러운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마치며 정리

지금 마스크를 의무로 써야되는 곳은

요양병원, 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복지시설, 의료기관, 약국, 대중교통 수단입니다.

대중교통은 노선버스, 철도, 도시철도, 여객선, 도선, 전세버스, 특수여객자동차,
일반택시, 개인택시, 항공기 등이 있습니다.

이곳은 마스크 권고가 아닌 의무 착용입니다.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