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81 [교육학]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1. 교육내용의 선정 1) 교육내용 선정의 기준 교육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과 활동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하는데, 이때 교육목표는 단원 목표 이상을 말한다. 수업 계획과 직접 연결되는 수업 목표의 진술에는 내용이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내용 선정이 목표를 달성하고 위한 것이기 떄문에 목표에 따라 내용을 선정하면 되지만, 내용 선정에서는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어떤 내용을 선정할 것인가의 기준이 중요하다. 이경섭은 교육과정 선정의 준거로서 중요성 적절성, 유용성, 학습 가능성, 흥미 등을 들고 있다. 김인식과 최호성은 교육목표 관련성, 학습 내용의 타당성, 학습 내용의 넓이와 폭의 균형성, 학습자의 적절성, 사회적 유용성을 들고 있다. 김대현은 타당성의 원리, 확실성의 원리, 중요성의.. 2022. 12. 13. [교육학] 교육목적의 설정 1. 교육의 일반 목표 모든 교육활동은 설정된 교육목적과 교유 목표로부터 출발한다. 교육목적은 교육이 지향하는 기본적인 방향 제시의 표현으로서, 비교적 포괄적이고 궁극적이며 일반적이고 대체적인 동시에 이상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비교적 포괄적이고 궁극적이며 일반적이고 대체적인 동시에 이상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흔히 교육이념이 가장 높은 수준을 드러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기본법에 교육이념을 명시하고 있다. 교육이념, 교육받은(추구하는) 인간상, 교육목적 등은 주로 이상적인 사회상과 여기에 상응하는 교육받은 사람들의 성품과 능력을 어느 정도 규범적으로 규정하게 된다. 이것은 학교에 개설되는 교과나 교과 외 활동을 통해서 대부분 달성되지만 전부 달성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것들은 논리적으로는 학교.. 2022. 12. 12. [교육학] 교육과정 개발 모형 1.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참여 과정을 통해 스스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되고, 나아가 그 결과물을 실행하는 입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현재보다 나은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성장 발전하는 학생들에게 현재보다 나은 교육적 경험을 가져다주게 된다. 좋은 교육과정 개발 체제는 자체의 자 기교 정력을 갖고 있어서 점차 변화, 발전하는 교육과정을 낳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Diamond(1977: 15)에 의하면, 교육과정 설계의 효과적인 모형은 첫째, 일련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핵심 요소를 제시하고, 둘째, 지속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셋째, 우리가 모형이 진행되는 과정의 어디쯤 있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 중요한 의문 사항이나 대안적인 해결방안을 탐구하고자 할 때 불필.. 2022. 12. 9. [교육학] 교육학의 유형 교육과정을 결정하는 교과, 학습자, 사회는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 정의 기원과 특색 등의 근원이 된다. 이들은 각각 고유한 역사적 기원, 인간관, 사회관, 학교관, 수업관, 평가관을 아우르는 교육과정 관점을 낳았다. 이들 세 요인이 단독 혹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결과가 어떻게 현실의 교육 과정을 낳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1) 교과 중심 교육과정 교과 중심 교육과정은 학교의 실제 교육과정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지속해서 영향을 주어 왔다. 이는 그 후예라고 할 수 있는 학문 중심이나 행동주의(성취기준 중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고전적인 형태를 지칭한다. William Torrey Harris에 따르면 도시화/산업화하는 사회에서 보편교육은 서구 문명의 주요한 문화유.. 2022. 12. 8. 이전 1 ··· 41 42 43 44 45 46 다음